경북정책연구원, 경북동해안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워크샵 개최
2016년 07월 01일(금) 18:41 가가

경북정책연구원(원장. 임배근)은 지난29일 오후7시 경북정책연구원 회의실에서 “경북동해안지역 경제혁신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전문가 정책워크샵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준홍 포항대교수는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지난 30년간 포항지역발전과 관련한 논의는 무성하였지만 실제로 실현된 사업은 거의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 이유는 일관성있는 비전제시가 없으며, 구체적인 실천력인 없고, 인접한 시군과의 동반성장전략이 부족하였고, 지역민사이의 공감대부족을 들었다. 경북동해안지역발전을 위해서는 하고싶은 사업, 할수 있는 사업, 그리고 해야만 하는 산업을 구분하여 전략적인 접근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현재 포항, 경주 등 인접도시와 동반성장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고, 경북도청 동해안발전본부가 포항으로 들어서고, 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역의 성장동력사업 제시를 위해 공감대 형성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지역 미래유망산업을 리딩할 앵커기업유치를 위해서는 과감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포항이 포기할 것은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경주, 울산, 삼척, 동해시 등 인접도시와 행정협의회 정례화를 추진하여 대정부 건의 및 기업유치와 SOC 활성화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토론자로 나선 김종웅 대구한의대 교수는 권역별 경제권 형성이 지역경쟁력 강화에 실효성이 있기 위해서는 넘어서야 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동해안지역은 접근성 측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했으나 울산 포항간 고속도로 개통으로 다소간 활력을 보일것으로 전망하였다.
토론자로 나선 남병탁 경일대 교수는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자체가 발상의 전환을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손영태 전경주상공회의소회장은 토론에서 노사화합문화 형성이 투자유치와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날 외부 업저브로 참석한 본사 김건우 부국장은 연구원에서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모여 실질적인 주제로 대안 제시를 위해 심도있는 논의를 하는 모습을 보며 상당히 고무적이라고 밝히고 탁상공론이 아닌 생활속의 적용가능한 현실 정책과 제안들을 도출해 구체화 하여 산, 학, 연 과 정부 및 지자체가 함께 협치와 소통으로 추진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하며 대안 제시에 경북정책연구원이 앞장서 나아가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임배근 경북정책연구원장은 토론에서 지역경제혁신을 위해 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신생스타트업 벤처기업 생태계조성을 위한 특별한 노력을 지역대학과 기업과 함께 기울여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지자체, 대학, 국회의원, 연구기관, 상공회의소, 기업 등과 협력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해외기업 투자유치여건 조성을 위해 지자체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부여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자리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준홍 포항대교수는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지난 30년간 포항지역발전과 관련한 논의는 무성하였지만 실제로 실현된 사업은 거의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 이유는 일관성있는 비전제시가 없으며, 구체적인 실천력인 없고, 인접한 시군과의 동반성장전략이 부족하였고, 지역민사이의 공감대부족을 들었다. 경북동해안지역발전을 위해서는 하고싶은 사업, 할수 있는 사업, 그리고 해야만 하는 산업을 구분하여 전략적인 접근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현재 포항, 경주 등 인접도시와 동반성장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고, 경북도청 동해안발전본부가 포항으로 들어서고, 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역의 성장동력사업 제시를 위해 공감대 형성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지역 미래유망산업을 리딩할 앵커기업유치를 위해서는 과감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포항이 포기할 것은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경주, 울산, 삼척, 동해시 등 인접도시와 행정협의회 정례화를 추진하여 대정부 건의 및 기업유치와 SOC 활성화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토론자로 나선 김종웅 대구한의대 교수는 권역별 경제권 형성이 지역경쟁력 강화에 실효성이 있기 위해서는 넘어서야 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동해안지역은 접근성 측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했으나 울산 포항간 고속도로 개통으로 다소간 활력을 보일것으로 전망하였다.
토론자로 나선 남병탁 경일대 교수는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자체가 발상의 전환을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손영태 전경주상공회의소회장은 토론에서 노사화합문화 형성이 투자유치와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날 외부 업저브로 참석한 본사 김건우 부국장은 연구원에서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모여 실질적인 주제로 대안 제시를 위해 심도있는 논의를 하는 모습을 보며 상당히 고무적이라고 밝히고 탁상공론이 아닌 생활속의 적용가능한 현실 정책과 제안들을 도출해 구체화 하여 산, 학, 연 과 정부 및 지자체가 함께 협치와 소통으로 추진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하며 대안 제시에 경북정책연구원이 앞장서 나아가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임배근 경북정책연구원장은 토론에서 지역경제혁신을 위해 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신생스타트업 벤처기업 생태계조성을 위한 특별한 노력을 지역대학과 기업과 함께 기울여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지자체, 대학, 국회의원, 연구기관, 상공회의소, 기업 등과 협력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해외기업 투자유치여건 조성을 위해 지자체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부여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동부취재본부 / 김건우 본부장
oprus21@naver.com